전체 글 7159

인형의 집

"인형의 집" (작:헨릭 입센 연출:류가빈 조명:김주연 안무:이아로미 디자인:조우림 출연:이혜주, 백재민, 김은오, 김태연, 신승철 제작:달세계 극장:을지공간 별점:★★★☆☆) 달세계 첫번째 프로젝트 라고 한다. 포스터가 마음에 들어서 선택 하였다. 이제는 이 작품을 너무 많이 봐서 그런가? 스토리가 거의 이해 된다. 그래서 지루해 진다. 여전히 왜 로라가 집을 나가야 했는지 직관적으로 와 닿지는 않는다. 역시 주인공 노라역의 이혜주 배우님이 연기를 열심히 해 주었다. 배우님 때문에 별점 1개 추가!

2023 2023.02.16

서툰 사람들

"서툰 사람들" (작,연출:장진 무대,소품:고태민 조명:나한수 음악,음향:김중우 의상:오수현 분장:오창렬 출연:임모윤, 최하윤, 안두호 제작:장차, 파크컴퍼니 극장:예스24스테이지 3관 별점:★★★★★) 2019년 "꽃의 비밀" 을 봤었던 장진 연출님 작품이다. 1995년, 2008년도에 봐서 안볼려고 했으나 관람하지 않았으면 후회할 뻔 했다. 110분 동안 시간가는 줄 모르고 정말 재밌게 봤다. 30년 전에 쓴 작품이 이렇개 재미 있을수 있구나! 이 공연을 선택하게 한 "낙타상자","붉은머리 안","회란기" 에서 봤었던 최하윤 배우님! 이제는 애정 배우로 불러야 하겠다. 19일 까지여서 다른 배우를 못 보는 것이 너무 아쉽다.

2023 2023.02.15

이백십일

"이백십일" (원작:나쓰메 소세키 출판:현암사 연출:윤영성 무대디자인:조민주 조명디자인:임수연 출연:윤성우, 남광우, 윤영성, 윤진희, 김장훈 제작:극인단 이치 극장:소극장 산울림 별점:★★☆☆☆) 먼저 시놉을 옮겨 본다. 1906년 일본 구마모토의 아소산을 배경으로 한다. 잡절기 중 하나인 '이백십일' 에 산을 오르려는 두 청년이 투숙하는 료칸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교차되는 이야기를 그린다. 이들은 다음 날 태풍이 몰아치고 땅과 화산이 진동하는 날 등정을 시작하게 되며, 험난한 여정을 펼친다. 다음은 검색해서 찾아낸 내용이다. '이백십일' 은 입춘 후 210일째 되는 날로서, 양력 9월 1일 또는 2일이다. 한국과 일본에 강한 태풍, 해일 등이 일어나서 농업과 수산업이 기상재난을 받기 쉽다. 특히 일본이..

2023 2023.02.14

빵야

"빵야" (작:김은성 연출"김태형 프로듀서:고강민 음악감독:민찬홍 안무:이현정 무대,영상디자인:조수현 조명디자인:박성희 음향디자인:임서진 의상디자인:윤나래 소품디자인:권민희 분장디자인:장혜진 출연:하성광, 정운선, 오대석, 이상은, 김세환, 김지혜, 진초록, 송영미, 최정우 제작:엠비제트컴퍼니 극장:LG아트센터 서울 U+ 스테이지 별점:★★★★★) 2022 창작산실 연극 두 번째 작품이다. 2018년도에 "그 개" 를 보았던 김은성 작가님의 5년 만에 보는 신작이다. 이번 창작산실 연극 중에서 가장 기대가 되었는데 역시 관람후 만족감은 매우 크다. 처음 간 LG아트센터 서울, 지하철과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편하다. 역시 이야기의 힘이 크다! 예전에 봤었던 "썬샤인의 전사들" 과 비슷한 느낌 이지만 무대,..

2023 2023.02.14

꽃을 받아줘

"꽃을 받아줘" (작:최병화 연출:정현 무대미술:민병구 조명:이재호 출연:정현, 공호석, 나종은, 원미원, 김연재, 이혜연, 심우창, 홍광표, 송정아, 최재경 제작:극단 민예 주최:스튜디오반, 국립정동극장 극장:국립정동극장_세실 별점:★★★☆☆) 제 7회 늘푸른 연극제 세 번쨰 작품이다. 작품의 무대는 국가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산속 요양원이다. 여기에 있는 8명의 환자들 얘기이다. 별거 없는 스토리지만 원로배우님들 발성은 참 좋다.

2023 2023.02.13

여로

"여로" (원작:헤르만 헤세 각색,연출:여지은 조명디자인:최동호 음향:임해윤 출연:신광민, 김나혁, 강다영 제작:창작집단 품다 극장:소극장 혜화당 별점:★★☆☆☆) 2023 제6회 소설시장페스티벌 세 번째 작품이다. 먼저 시놉을 옮겨 본다. 자신의 사무실에서 작가 미상의 책을 읽고 있는 융. 몇 년 전부터 그를 찾아오던 헤세가 어느때와는 다른 분위기를 풍기며 찾아온다. 융은 모든 것을 꿰뚫어 보는 듯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으며 헤세를 바라보고 헤세는 추억에 잠겨 어린시절의 이야기를 늘어놓기 시작한다. 융은 상담을 진행하며 자신이 읽던 책의 저자가 헤세임을 확신하게 되는데... 제목만 봤을 때 1972년 KBS 에서 방영 되었던 드라마가 생각난다. 역시 원작이 어려우니 공연도 흥미롭지 못하다.

2023 2023.02.12

신림이론

"신림이론" (작,연출:성준영 음향:황정훈 출연:김원직, 김예린, 김기태, 성준영, 김소리, 최왕석 제작:team newable 극장:드림시어터 별점:★★★☆☆) 천재임, 치명적, 예민해, 한다이 이렇게 네 명의 젊은 청춘들이 신림동의 어느 옥탑방에 모여 살면서 벌어지는 얘기이다. 뻔한 스토리 지만 여섯 명의 젊은 배우들이 자연스러운 연기를 보여 준다. 치명적 역의 김예린 배우님이 좋았다.

2023 2023.02.12

흘렀던, 흐르는

"흘렀던, 흐르는" (작:공동창작 연출,기획:김시원, 김혜린 무대,디자인:박지윤 조명:박지은 의상:김희수 음향:김다은 소품:이예진 출연:조민경, 박지은, 김다은, 박지윤, 김희수, 김시원, 김영아, 김혜린, 이예진 제작:공동창작연극 실험프로젝트 : 공실 극장:피카소 소극장 별점:★★☆☆☆) 먼저 시놉을 옮겨 본다. 밤늦게 연극 연습을 하던 세 명의 고등학생 다래, 하루, 정하는 베일에 싸인 수상한 기업 ㈜타임리밋의 시계공들과 우연히 마주친다. 시계공들에 의해 지나간 시간으로 돌아가 과거의 자신과 마주하게 된 세 학생. 학생들과 선생님 석희가 ㈜타임리밋을 찾아가자, 두 시계공과 대표 한소는 그들을 누군가의 과거로 안내한다. 그리던 순간으로 돌아갔을 때, 우리는 흘라가기를 선택할 수 있을까? 사회인 극단 공..

2023 2023.02.12

하얀 일기

"하얀 일기" (작,연출:오세현 음악:이동규 협력연출:박세이 출연:한해운, 이재현, 최찬미, 최현우, 김바룩, 박준영 제작:극단 토끼 극장:후암스테이지 별점:★★★☆☆) 전작 "뜨거운 사이" 를 봤었던 극단 토끼 제2회 정기공연 이다. 먼저, 시놉을 옮겨 본다, 기억을 지우는 의사 '이선' 은 기억이 지워진 환자 '박지' 에게 일기를 건네고 치료사 '최후' 는 기억을 지우고픈 환자 '종결' 과 지워야만 하는 VIP환자 '후환' 을 데리고 온다. 티켓을 주는데 약봉지에 이름을 써서 주는게 재밌다. 무거운 내용 이었지만 젊은 배우들의 열정이 좋았다.

2023 2023.02.11

노스체(NOSCE)

"노스체(NOSCE)" (작가:황정은 연출:윤성호 무대디자인:박상봉 분장,소품디자인:장경숙 조명디자인:노명준 사운드디자인:유옥선 의상디자인:김미나 그래픽디자인:정김소리 홍보물사진:강희주 출연:김은희, 선명균, 박윤정, 최희진, 윤정로, 김민주 제작:프로젝트집단 세사람 극장: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별점:★★★★☆) 2022 창작산실 연극 첫 번째 작품이다. 2020년도에 "산악기상관측" 이라는 공연을 봤었던 프로젝트집단 세사람 공연이다. 찾아보니 2018년도에 낭독공연으로 봤었던 작품이다, 'nosce' 는 라틴어로 '알다' 라는 뜻이다. 그리이스의 유명한 격언 '너 자신을 알라 nosce te ipsum' 가 검색어에 나온다. 원전이 폭발한 지 25년 후, 이 지역이 관광지가 되고, 여기에 재난로봇 노스체..

2023 2023.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