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186

제비심장

"제비심장" (원작:김숨 드라마터그:우연 연출,각색:강량원 무대미술:임일진 조명디자인:최보윤 사운드디자인:목소 의상디자인:오수현 소품디자인:제페토 영상,사진:박태준 홍보디자인:이승은 타이틀 캘리그라피:박광오 노래도움:오로민경 목소리녹음:박수정 출연:배선희, 강세웅, 신소영, 유은숙 도움주신 분들:전국금속노조 K조선지회 제작:극단 동 극장:예술공간 혜화 별점:★★☆☆☆) “철상자는 조선소에서 만드는 철배의 조각이야. 무게가 2, 3톤 나가는 철판 수십 장을 병풍처럼 이어 붙여서 레고 블록 같은 철 상자를 만들어. 철 상자 하나가 6층 아파트만 하고, 철 상자 300개를 합하면 철 배 한 척이 완성돼. 작업을 하려면 20미터 높이의 철 상자 허공에 발판을 놓아야 돼. 허공에 두 발을 띄우고 용접을, 망치질을..

2025 05:25:18

겨울

"겨울" (작:욘 포세(Jon Fosse) 번역:정민영 드라마트루그:홍재웅 연출:차병호 조명디자인:정준영 음악:배은열 사진:윤대근 포스터사진:김건희 출연:해수, 박근홍 제작:극단 심연, 극단 호감, 빅루트엔터테인먼트 극장:선돌극장 별점:★★★☆☆) 한 여자와 한 남자가 공원 벤치에서 우연히 마주친다. 여자는 남자에게 끊임없이 말한다. “난 당신 여자야” 둘 사이에 어떤 사연이 존재하는 것일까? 두 남녀는 절절하게 서로를 갈망한다. 은 여자와 남자 그 둘의 이야기다. 희곡 속엔 둘만 등장한다. 희곡은 두 인물의 특별한 이야기를 다루지 않고 두 인물의 말 할 수 없는 관계만을 끊임없이 드러낸다.   극단 심연 창단 공연 이라고 한다. 작품은 2023년도에 봤었는데, 그 때와 완전히 다른 공연을 본거 같다. ..

2025 2025.04.11

내 책상 위, 작고 따뜻한 산세베리아 화분

"내 책상 위, 작고 따뜻한 산세베리아 화분" (작:서유진 드라마투르그:김상옥 연출:전민구 무대디자이너:유다미 조명디자이너:유보민 음악감독:조주연 출연:김지혜, 김병윤, 이재호, 김서연 제작:씨밀레프로젝트 주최:한국연출가협회 극장: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별점:★★★★★) 도연과 갑수는 7년째 연애중이다. 갑수는 스토리가 있는 사진을 찍고 싶고 도연은 반 고흐의 그림 속 장소에서 그림을 그리는 게 꿈이다. 그러나 현실의 갑수는 여러 아르바이트를 전전하고 도연은 건설회사 계약직직원으로 근무 중이다. 하지만 그 생활도 위태롭다. 갑수의 형 천수가 다녀간 저녁, 도연은 그동안 갑수에게 하지 못했던 말들을 쏟아내기 시작한다. 내 꿈... 내 자리… 그리고 무엇보다 갑수가 소중한 도연은 그 모든 걸 온전히 이뤄내고 ..

2025 2025.04.09

탐조기

"탐조기" (작:송희지 드라마투르그:이채은 연출:장은실 음악:유승찬 무대:설예준 조명:곽태준 음향:박상준 의상:김효민 출연:황상경, 손승범 제작:디오티(DOT) 주최:한국연출가협회 극장: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별점:★★★☆☆) 외딴 벽촌에서 홀로 살아가는 중년 남자 훤. 누구도 만나거나 찾지 않으며 적막한 생활을 이어간다. 마을은 연중 내내 고요하다가, 가을철에만 철새와 포수들의 소리로 수선스러워진다. 가을이 오고 마을의 고요가 흐트러진 와중, 초대한 적 없는 손님이 불쑥 그의 집을 찾는다. 훤이 오래전 사귀었던 애인의 아들 조. 훤은 조를 반갑게 맞이하고 집으로 들인다. 그러나 조는 묘한 태도를 보이며 서서히 훤을 몰아붙이고, 그 가운데 묻어두었던 과거의 기억과 관계가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하는데……...

2025 2025.04.08

마의 기원

"마의 기원" (작:박형준 드라마투르그:윤서현 연출:박문수 사운드:한수진 출연:임영준, 박한솔, 고유준 제작:홧김에 박문수 프로젝트 주최:한국연출가협회 극장: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별점:★★★☆☆) 강호 무림에 전쟁의 기류가 흐른다. 마교(魔敎)의 부흥이 심상치 않은 가운데, 정파 무림의 지도자인 ‘협제’와 그의 ‘제자’는 좁은 외나무다리를 건너려 한다. 혈맥에 큰 내상을 입어 걸핏하면 발작을 일으키는 제자. 그는 몸과 마음의 고통을 부여잡으며, 협제의 공력에 의지해 가까스로 목숨을 부지하는 중이다. 협제는 그런 제자를 치료 해주기 위해, 한시라도 빨리 다리 건너편에 있는 천하제일의 의원에게 가고자 한다. 그런데 그때. 다리 반대편에 휠체어를 탄 낭인이 나타나더니, 무슨 이유에선지 사제의 도하를 가로막기 ..

2025 2025.04.08

횡단보도에 끝이 있긴 한가요?

"횡단보도에 끝이 있긴 한가요?" (작:해서우 드라마트루그:정애란 연출:김연민 시노그라피,조연출:이화승 시노그라피 어시스턴트,사운드:고민주 출연:강애심, 김세원, 정원조, 김기붕, 장요훈, 김이헌, 이예빈 제작:스토리 포레스트 주최:한국연출가협회 극장: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별점:★★☆☆☆) 아이는 사거리 횡단보도를 배회한다. 사막화된 도시를 가로질러온 노가리, 뼈다구를 슬쩍. 아이가 말한다. 그거 우리 할머닌데... 그날 밤, 땅에 구멍이 생긴다. 아이 잠들고 노가리 땅을 파고 할머니 벌떡 일어나더니 체조 시작. 그리고 명태 쓰는 블로그의 내용 아무렴 아이는 걷는다. 할머니의 갈비뼈를 찾아서 갈-비-뼈- 계속 걷는다.   제34회 대한민국 신춘문예 페스티벌 여섯 번째 작품이다. 2022년도에 너무나 재..

2025 2025.04.07

견고딕걸

"견고딕걸" (작:박지선 연출:신재훈 음악감독:정준 작곡:고수영 무대디자인:송지인 조명디자인:김효민 영상디자인:고동욱 음향디자인:박재식 분장디자인:장경숙 의상디자인:이윤진 소품디자인:이수진 그래픽디자인:정김소리 사진:김솔 출연:서지우, 문가에, 임예슬, 김채원, 박세정 연주:고수영, 윤두호, 최율태 제작:극단 작은방 공동기획:두산아트센터, 극단 작은방 극장:두산아트센터 Space111 별점:★★★☆☆) 2023년도에 봤었던 작품이다. 이전 후기를 옮겨본다.   "견고딕-걸" (작:박지선 연출:신재훈 음악감독:정준 작곡:고수영 무대디자인:송지인 조명디자인:김효민 의상디자인:이윤진 분장디자인:장경숙 소품디자인:이수진 영상디자인:고동욱 음향감독:박재식 출연:김채원, 문가에, 박세정, 서지우, 임예슬 연주:고수..

2025 2025.04.06

불란서 특파단

"불란서 특파단" (작:기하라 연출:이영은 무대:이창원 조명:이보경 영상:박영민 음악:이율구 의상:김민우 분장:김근영 그래픽디자인:디자인SNR 사진:이강물 기획:아트리버 출연:권일, 한정호, 채송화, 이정후, 황재하 제작:극단 김장하는날 극장:서강대학교 메리홀 소극장 별점:★★★☆☆) 1900년. 불란서 파리는 만국박람회를 앞두고 있다. 대한제국 대사 민영찬은 목수 두 명과 함께 불란서로 특파된다. 파리에 대한제국관을 건설하고 근대 국가로서 만국박람회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파리에 도착한 민영찬 일행을 기다리고 있던 것은 열악한 환경과 강대국의 텃세였다. 가진 것이라곤 맨손이 전부인 그들은 경복궁 근정전을 근본 삼아 대한제국관을 짓기로 한다. 과연 별세계에 대한제국관을 건설할 수 있을까? 특파대사 민영찬과..

2025 2025.04.05

피에타

"피에타" (작,연출:이대현(단국대학교 공연영화학부 교수) 드라마투르기:임택(단국대학교 공연영화학부 초빙교수) 음악감독,작곡:안준하 음향디자인:임태형(센트럴사운드) 조명디자인:박민한 조명감독:이후림 의상:최수영 출연:최아름 주최:약속의연극레퍼토리, 삼일로창고극장 극장:삼일로 창고극장 별점:★★★★☆) 세계 예술사의 중요한 테마로서 종교적 목적만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도로 회화나 조각 등 다양한 스타일로 표현되고 있는 존재. 모노드라마 는 인간의 역사 이래로 끊임없이 벌어지고 있는 사회의 부조리, 사회구조의 악에 대한 고찰이다. 지금까지 들을 수 없었던 인간 마리아의 목소리, 사회적 살인을 당한 자식을 둔 어머니의 절규를 생생하게 보도한다.   2025 서울 모노드라마 페스티벌 첫 번째 작품이다..

2025 2025.04.02

돼지꿈

"돼지꿈" (작:고찬하 드라마투르기:이유라 언출:이우천 무대:현승철 음악:이보람 의상:원유휘 소품:엄희준 출연:손성호, 이정인, 민병욱, 김설, 양대국 재작:대학로극장 주최:한국연출가협회 극장: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별점:★★★★★) 죽은 아버지가 꿈 속에서 주식 종목을 알려준 덕에 벼락부자가 된 병철은 모든 부채를 청산하고 집을 소유하는 만족스러운 삶을 살게 된다. 그런데 평소에는 연락도 없던 자녀들이 병철의 생일을 핑계로 집을 방문하고 방 한가운데에 돈이 있다는 것을 모른 채로 저마다의 이유로 병철에게 돈을 요구한다. 병철은 돈을 지킬 수 있을까?   제34회 대한민국 신춘문예 페스티벌 다섯 번째 작품이다. 전작 "뱃속에서" 를 봤었던 믿고 보는 극단 대학로극장 공연이다. 가장 좋아하는 기획공연 중의 ..

2025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