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159

몬순

"몬순" (작:이소연 연출:진해정 무대:송지인 조명:신동선 사운드:목소 의상:김미나 영상:고동욱 움직임:손지민 소품:이송이 분장:백지영 출연:강민재, 권은혜, 김예은, 나경호, 남재영, 송석근, 신정연, 여승희, 이주협 제작:국립극단 극장: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 별점:★★★☆☆) 1.전쟁 중인 나라인 타트 출생 네이지는 무기 회사 직원인 차미와 그의 아들 굴의 집에서 홈스테이를 하고 있다. 2.대학원생 새벽은 미디어아트 졸업 전시 주제인 ‘전쟁’ 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고민하며 전쟁에 관련된 사람들을 인터뷰하기 시작한다. 3.유치원에서 일하는 리오와 타트 출신 안무가 문은 오래된 커플로, 퀴어 페스티벌 참가를 앞두고 현실을 녹인 2인극을 만들어 선보이기로 한다. 이렇게 세 개의 스토리가 교차 되면서 ..

2023 2023.04.18

섬 이야기

"섬 이야기" (공간컨셉트,연출,출연:이경성 드라마터그:김슬기 조명디자인:김효민 인형디자인:이지형 사운드:카입 음향감독:김여운 영상:최용석, 황호규 영상아카이브:헤즈킴 공연사진:2022 SPAF/@옥상훈 창작,출연:나경민, 배소현, 성수연, 장성익 제작:크리에이티브 VaQi 극장: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 별점:★★☆☆☆) 2021년도에 "보더라인" 을 보았던 크리에이티브 VaQi 공연으로 작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에서 초연 되었다. 왜 안봤었지? 제주 섬 공항의 활주로 아래에서 70여 년 만에 수백 구의 유해들이 발견된다. 누군가는 그 유해를 통해 70년 전 갑자기 사라진 가족을 찾기도 한다. 사실 유해는 공항 뿐 아니라 섬 곳곳 땅 아래에 묻혀 있다. 그 구체적 몸의 흔적들이 땅 위로 하나 둘..

2023 2023.04.17

애프터 마리나

"애프터 마리나" (죽고 싶지 않아 작:변자영 연출:이가을 무대:김무늬, 김현아 조명:김현범, 도솔빈 음향:신동녘, 염상윤 의상:정해민 출연:김현경, 한성국, 강서율, 정이듬, 권민서, 고다연 제작:극단 모임 극장:소극장 혜화당 별점:★★★☆☆) 내가 좋아하는 2023 제8회 SF연극제 두 번째 작품이다. 2035년, 지구는 사람이 살 수 없는 환경으로 변화했다. 애프터 사의 거대 우주선 ‘애프터 1호’는 마리나 은하계의 M-3270K 행성으로 15년의 여정을 1만 명의 탑승자를 데리고 떠난다. 4개의 구역으로 나뉜 우주선 안에서 발생한 바이러스. 바이러스에 항체를 가진 ‘죽지 않는 아이들’ 은 네 번째 구역에 격리된 채 5년을 보내게 되는데... 배경 설명이 있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콘트롤타워의 캐..

2023 2023.04.16

하얀 역병

"하얀 역병" (작:카렐 차페크 번역:김선형 각색,연출:이은준 드라마터그:김주연 무대디자인:박은혜 조명디자인:신동선 음악디자인:박민수 의사,소품디자인:김병건 출연:권태건, 김가빈, 김규도, 김명기, 김혁민, 박경은, 안소영, 오순태, 이상숙, 이현직, 홍명환, 홍수민 주최:극단 파수꾼 극장:아트원씨어터 3관 별점:★★★★★) 이 글에는 스토리의 중요한 결말이 포함 되어 있습니다. 전작 "아이히만, 암흑이 시작 하는 곳에서" 를 봤었던 믿고 보는 극단 파수꾼과 이은준 연출님의 신작이다. 찾아보니 작가님의 작품은 2013년도에 "알.유.알" 이라는 공연을 봤었다. 원작 소설을 읽어 보고 싶어진다. 현 시대의 정치적인 얘기를 주제로 하는 공연, 별로 안좋아하는데, 와우! 이 작품 정말 좋았다. 지금 상황에 딱..

2023 2023.04.16

레인보우 공항

"레인보우 공항" (끝이 아닌 시작이 되는 곳 작:박은주 연출:손대원 작곡,연주:이요현 안무:김봉순 조명감독:정광재 음향감독:김지은 출연:박은주, 권솔, 김단경, 안성진 제작:극단 가음 극장:후암스테이지 별점:★★★★☆) 2023년 제4회 딜레마 극장 다섯 번쨰 작품이다. 작년에 "다윈의 거북이" 를 봤었던 극단 가음 공연이다. 레인보우공항에서 오랜만에 조우한 '해피' 와 '나비'는 엄마를 따로 또 같이 기다린다. 해피는 공장에서 구조된 과거가 있고, 나비는학대받고 도망친 아픈과거가 있다. 무지개다리를 건넌 이들은 각자 엄마와 함께 여행을 떠나려 한다. 뒤늦게 '로보'가 도착해 한바탕 소동이 벌어진다. 과연 이들은 엄마를 무사히 만날수는 있을까? 엄마를 만나 꿈꾸는 장소로 여행을 떠날 수 있을까? 중간에..

2023 2023.04.15

흥보 마누라 이혼소송 사건

"흥보 마누라 이혼소송 사건" (창극 법정 드라마 작,연출:최용석 작창:김율희 작곡:황호준 음악감독:송지훈 안무:유선후 의상:강정화 분장:석필선, 김경희 무대디자인:송기조 조명디자인:김희관 음향디자인:박기섭, 여성준 영상디자인:정혜지 영상일러스트:정경은 출연:김율희, 한진수, 전태원, 이재현, 김보람 피아노:송지훈 바이올린:조아라 타악:전계열 주최:국립정동극장 극장:국립정동극장_세실 별점:★★★★★) 2023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두 번쨰 작품이다. 먼저, 국립정동극장! 이제는 꼭 챙겨봐야 하겠다. 다음 뮤지컬도 너무 기대 된다. 그리고, 올 해가 아직 많이 남았지만 이 공연 베스트 작품으로 바로 등극! 제목만 봐서는 어떤 내용일지 대충 짐착이 된다. 마지막은 시즌2가 있다는 건가? 아무튼 관..

2023 2023.04.14

쉐이크

"쉐이크" (작,연출:홍정호 조명감독:정의영 음악감독:권지현 출연:홍정호, 김도희, 이원장, 황려진 제작:컴퍼니 다옴 극장:한성아트홀 2관 별점:★★★★☆) 남자는 한 여자의 추천을 받아 로맨틱 코미디 영화 '쉐이크' 를 보러간다. 상영이 끝나고 난 뒤 여자를 만나서 감상평을 나누던 중 영화에 심취해 깊이 빠져 들어가게 되고 각각 타인에게 휘둘리고 있는 영화 속 주인공 만달과 정화를 대변하며 갈등이 야기된다. 과연 두 주인공은 남자와 여자의 바람대로 진짜 사랑을 이루어 낼 수 있을지 영화 속 이야기가 펼쳐진다. 뻔한 로코물 이지만 배우분들의 자연스러운 연기 때문에 재밌게 보았다. 배우들의 연기가 좋아서 별점 1개 추가! 나도 달콤한 쉐이크 먹고 싶다...

2023 2023.04.13

구구선 사람들

"구구선 사람들" (판소리 레미제라블 원작:빅토르 위고 「레미제라블」 작,연출:입과손스튜디오 음악:입과손스튜디오, 김홍갑, 이유준 무대디자인:남경식 조명디자인:신동선 음향디자인:장태순 출연:이승희(소리꾼), 김홍식(고수), 김소진(소리꾼/가열찬역), 백종승(백군역), 이향하(키보드), 김홍갑(기타), 이유준(드럼) 제작:입과손스튜디오 기획:두산아트센터, 입과손스튜디오 극장:두산아트센터 Space111 별점:★★★☆☆) 구구선은 '언제나 1%가 모자라는 99%의 세상' 에서 따온 이름 이라고 한다. 바다 한 가운데 구형의 검은 배가 한 척 떠 있다. 그 배는 하나의 세상이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유토피아 '물' 을 그리며 떠 간다. 먹고 살기도 힘들어서 꿈이나 희망 같은 것들은 생각..

2023 2023.04.12

몽용탕

"몽용탕" (夢湧湯:꿈이 샘솟는 목욕탕 작:이성철 연출:강유진 무대디자인:김가연, 김유민 조명디자인:김해빈 음향:신성철 의상:김기령 소품디자인:박하영 포토그래퍼:조소희 그래픽디자인:김혜림 출연:하태희, 현림, 이소민, 이혜진, 송미진 제작:프로젝트 DOT:G 극장:꿈빛극장 별점:★★★★☆) 꿈이 샘솟는 탕 몽용탕에서 일하는 라미, 구월, 세신. 그리고 목욕탕의 오랜 단골 선배 평강. 이들은 손님 없는 목욕탕에서 똑같은 하루하루를 보낸다. 어느 날과 똑같은 날, 인간 소혜가 몽용탕에 들어오게 되는데… 아동극일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어서 좋았다. 뻔한 얘기 이지만 다섯 명의 배우들이 자연스럽게 연기를 잘 해 주었다. 세신이 귀여워... 따로 세신이의 스토리도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공연을 선택하게..

2023 2023.04.11

쇄골에 천사가 잠들고 있다

"쇄골에 천사가 잠들고 있다" (원작:핑크 지저인 3호 연출:변영진 번역:곽윤미 조명디자인:노명준 무대디자인:오태훈 그래픽디자인:이정현 포토그래퍼:정지원 음악:레이블1979 [메인테마곡 FFL - 도담] 사운드디자인:고윤경 분장,헤어:노지혜 츨연:유희제, 김바다, 이지민, 오현서, 박한근, 최지혜, 문경희, 장용철 주최:불의전차 제작지원:네버엔딩플레이 극장:대학로 자유극장 별점:★★★★☆) 전작 "이카이노 바이크" 를 봤었던 불의전차 공연이다. 공연을 보기 전 제목이 무슨 의미인가 궁금했다. 일본 작품인데, 일본풍이 많이 묻어 나지 않아서 좋았다. 원작 희곡을 읽어보고 싶다. 죽음과 성 정체성에 관한 내용 이지만 배우들의 자연스러운 연기 때문에 110분 동안 지루하지 않게 보았다. 2021년도 "유니온"..

2023 2023.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