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 17

십이야

"십이야" (원작:윌리엄 셰익스피어 각색,연출:임도완 무대:이은석 조명:신호 의상:이주희 영상:EPITAPH.Corp 분장:백지영 소품:노주연 안무:김재승 음악,악사:채석진 음향:안세운 출연:구본혁, 백승연, 강해진, 김현민, 성원, 박경주, 이경민, 정다연, 이승우, 권재원, 임채현, 조승연 제작:국립극단 극장: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 별점:★★★★★) 쌍둥이 남매 신애와 미언은 바다에서 폭풍을 만나 바다 한가운데서 헤어진다. 농머리 해안에 도착한 신애는 집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남장을 하고 살기로 다짐하고, ‘만득’으로 이름을 바꾼 후 양반집 자제 오사룡의 시종으로 들어간다. 오사룡은 같은 마을의 양반집 아씨 서린을 오랫동안 사모하고, 사랑의 전령으로 만득을 보내지만 정작 서린은 만득에게 첫눈에 반해버린다..

2025 2025.06.30

<대왕은 죽기를 거부했다> & <유실물>

" & " {이근삼 단막극전 1부 원작:이근삼 연출:정승현 무대:김민주, 김유리, 이서현, 이유정 음악:김정용 조명:신지수 사진:윤헌태, 황선하 그래픽디자인:유다빈 출연:김종칠, 이미은, 조희봉, 최명경, 김조운, 장지아, 박혜영, 박나은, 김은주, 이승현, 김연진 제작:TEAM 돌 극장:서강대 메리홀 소극장 별점::★★★★☆) 작가님 작품은 2016년도에 "국물 있사옵니다" 를 재밌게 본 기억이 있다. 역시 내용은 사회 풍자가 뛰어나다. 이 공연을 선택하게 한 2023년도에 "파우스트" 를 봤었던 장지아 배우님! 명료한 발성으로 연기를 잘 해 주었다. 작품과 배우님이 좋아서 별점 1개 추가!

2025 2025.06.27

광장시장

"광장시장" (두산인문극장 2025: 지역 LOCAL 작:윤미현 작곡,음악감독:나실인 연출:이소영 안무:배유리 미술감독,무대/조명디자인:여신동 의상디자인,제작:오현희 음향시스템디자인:이현석 영상디자인:Rafhoo 그래픽디자인:포인터스(Pointers) 사진(프로필·설정·연습·공연):Studio Kenn 출연:강정임, 박현철, 송석근, 윤현길, 이지현, 정대진 기획제작:두산아트센터 극장:두산아트센터 Space111 별점:★★★★★) 언제나 신뢰하는 '두산인문극장 2025: 지역 LOCAL' 세 번째 작품이다. 올해에는 '지역 LOCAL' 이라는 주제로 세 편의 공연이 기획 되었다. 찾아보니 Space111 에서 뮤지컬을 마지막으로 봤던게, 2021년도에 "바바리맨-킬라이크아이두" 이다. '시장' 하면 각자..

2025 2025.06.23

러브미투마로우

"러브미투마로우" (다세계극장 연작 작:김상훈 연출:박해성 무대:신승렬 조명:김형연 사운드:카입 의상:홍문기 분장:이지연 홍보물디자인:박먼지 사진기록:옥상훈 출연:신사랑, 권정훈, 김현, 김슬기, 김중엽, 편다솜, 전해인, 베튤 제작:상상만발극장2 극장:미아리고개예술극장 별점:★★★☆☆) 선생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온 누군가를 안내인이 맞이한다. 숲이 내려다보이는 창가에서 어떤 이들은 피할 수 없는 순간을 맞고, 아직은 어색한 사이인 어떤 이들은 거리의 버스정류장에서 수줍게 만난다. TV속에서는 사랑의 대환장쇼가 펼쳐지고, 이를 보는 이들은 심드렁하다. 어느 거실에서는 화분이 손녀에게 말을 건네고, 꿈을 이루기 위해 오래 준비해온 누군가는 불안감에 휩싸여 병원을 찾는다. 앱으로만 소통하던 어떤 이들은 솥밥..

2025 2025.06.18

헌치백

"헌치백" (2024-2025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 원작:이치카와 사오『헌치백』(문예춘추) 윤색:김도영, 김진숙 드라마터그:김지혜 연출:신유청 안무:허윤경 무대:이엄지 조명:강지혜 영상:고동욱 음향:지미 세르 의상:홍문기 분장:장경숙 소품:최혜진 출연:김별, 원훈, 우범진, 차윤슬, 황은후 제작:국립극장 극장: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별점:★★★☆☆) 명인 샤카(紗花)를 통해 온라인에 기고하는 글로 세상을 마주하는 샤카(釋華). 샤카(釋華)의 세상은 샤카(紗花)를 통해 완성된다. ‘진흙탕’이 없으면 ‘연꽃’ 또한 없듯이 둘의 세계는 상보성을 이룩한다. 썰렁한 장조의 대화를 연주할 능력이 없는 샤카(釋華), 그리고 그녀와 따로 또 같은 모양을 가진 간병인 다나카. 쇤베르크의 무조 음악처럼 정해진 조성의 틀을 떠..

2025 2025.06.17

호러이쇼

"호러이쇼" (Horror Is Show 원작: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드라마터그:박효경, 신도현 창안,연출:김현탁 조명디자인:신동선 조연출:곽영현 사진촬영:김철성 출연:이진성, 김남현, 양은서, 장지호, 조인희, 이성원, 윤나영, 정우근, 조명진, 정준혁, 안민주, 안수지, 최윤영 주최:성북동비둘기 극장:성수아트홀 별점:★★★☆☆) 유령의 모습으로 나타난 아버지, 아버지의 왕좌를 차지한 삼촌, 삼촌과 결혼한 어머니, 의중을 파악하려는 연인, 그리고 걱정하는 척 감시하는 친우들. 햄릿은 그 누구도 온전히 믿기 어려운 세계에서 광기의 가면을 쓰고 복수의 때를 기다린다. 그의 유일한 이해자는 아버지의 유령을 목격했다는 소식을 전한 호레이쇼밖에 없다. 전작 "걸리버스 2" 를 봤었던 극단 성북동비둘기 작..

2025 2025.06.17

유령

"유령" (작,연출:고선웅 무대디자인:심재욱 조명디자인:류백희 음악감독:김동욱 의상디자인:유미영 분장디자인:강대영 음향디자인:이효원 소품디자인:곽내영 그래픽디자인:크랜베리 홍보사진:정희승 연습,공연사진:윤문성 출연:이지하, 신현종, 강신구, 김신기, 전유경, 홍의준, 이승우 제작:서울시극단 극장:세종문화회관 S씨어터 별점:★★★★☆) 극장에 배우들이 모여 있다. 그들의 역할이 시작된다. 배명순은 남편의 폭력을 피해 가출한다. 새로운 인생을 위해 주민등록도 포기하고 정순임이란 이름으로 우여곡절을 겪으며 떠돈다. 16년 뒤, 원래의 이름을 찾지만, 말기 암 진단을 받고 무연고자로 쓸쓸히 죽는다. 시신 안치실로 옮겨지고 그곳에서 화장되지 못한 채 떠도는 유령들을 만나는데... 2012년 "늙어가는 기술" ..

2025 2025.06.13

방패맨

"방패맨" (작,연출:이소금 조명:김광훈 무대:유다미 음악:성주현 분장:김서현, 하나영 사진:이준성 출연:조윤정, 전정욱, 박솔지, 박정원, 백재아, 홍한빈 제작:극단 혈우 극장:대학로 열린극장 별점:★★★★★) 제46회 서울연극제 자유경연작 네 번째 작품이다. 작년에 "지옥에서" 를 보았던 극단 혈우 공연이다. 2017년도에 "혈우" 라는 공연을 처음으로 봤었던 '극단 혈우' 를 이제는 애정하는 극단 이라 부르며 후기를 시작해 본다. 관람 예정인 자유경연작품 몇 개가 남아 있지만, 이 작품을 최고의 공연 이라고 얘기하고 싶다. 언뜻 보니 '히어로' 애기인거 같았는데 결론은 그게 아니었내... 궁금하신 분들은 일요일까지 공연 하니 극장에서 직접 확인하시길 바란다. 언뜻 "템플" 이라는 공연이 생각 나지만..

2025 2025.06.12

모로코로 가다

"모로코로 가다" (작:Jose Luis Alonso De Santos 스페인어 번역:강필식, 김진희 드라마터그:김선율 연출:오현우 음악:이승호 무대:허다경, 김태연 조명:김수원 포스터 사진:신준하 사진 조명:김대기 출연:민정은, 김미승, 황인덕, 정빈, 고한비, 김영웅, 정혜원 제작:다이얼로거 극장:여행자극장 별점:★★★★☆) 마드리드의 구시가지에 있는 어느 낡은 집. 모로코에서 불법 밀수를 하며 생계를 이어가는 츄사와 샌들을 만드는 사촌 하이미또,그리고 그들의 친구 알베르또가 함께 살고 있다. 어느 날 츄사는 가출을 일삼는 엘레나를 우연히 거리에서 만나고 그녀에게 알 수 없는 친밀감을 느끼며 모로코 여행을 제안한다. 제46회 서울연극제 자유경연작 세 번째 작품이다. 작년에 "THE BIG MEAL..

2025 2025.06.09

세상에 없는 이노래가

"세상에 없는 이노래가" (작:손윤필 작곡:스튜디오 물너울 연출:손윤필 음악감독:정우림 조명감독:장민현 안무감독:김주현 디자인:한민지, 정유진 기타슈퍼바이저:이상정 출연:김소정, 김채승, 고다연 제작:예풍 극장:아트포레스트 2관 별점:★★★★☆) 2031년. 서로의 이름도, 병명도 물을 수 없는 한 병원. 사고로 영원히 두 다리를 잃고 삶의 의지와 희망을 모두 잃어버린 '채나'. 그녀는 이곳에서 간병인 대신 간호 로봇 '란'을 고용한다. '나' 는 그곳에서 자신의 곡을 연주하고 있는 한 '남자' 를 우연히 마주치게 된다. 세상에 없는 노래를 만들겠다는 한 남자. 죽지 못해 살아가는 한 여자. 자신의 쓸모를 다하지 못하고 있는 란. 광장에서의 우연한 만남이, 똑같은 시간, 똑같은 공간, 똑같은 하루를 살아..

2025 2025.06.07